728x90
반응형
안녕하세요~ 오늘은 Java의 변수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.
Java에서 변수란 무엇이며, 어떻게 사용하는지 아시나요? 변수는 값을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입니다. 이것은 Java 프로그래밍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.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그램에서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. Java에서 변수를 선언하려면 데이터 유형을 정의하고 변수 이름을 지정해야 합니다. 이제 Java 변수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변수의 초기화
// 초기화 : 변수를 생성한 후, 최초로 값을 대입하는 것을 초기화라고 합니다.
// 중요!! 모든 변수는 초기화가 되지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변수입니다.
// 4byte 크기의 메모리를 할당받아 num 이름을 붙여서 관리하는 변수 선언
int num;
// 초기화되지 않은(값이 대입되지 않은) 변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
// 초기화되지 않은 변수가 가진 값을 쓰레기 값이라고 합니다.
// System.out.println(num); 쓰레기 값은 출력이 불가능하다.
// 변수의 초기화
num = 100;
// 변수가 초기화된 이후에는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됩니다.
System.out.println(num);
변수의 초기화(대입하는 방법) 문법
// 1.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를 분리
int n1;
n1 = 1;
// 2.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를 동시에 처리
int n2 = 2;
// 3. 다수개의 변수를 동시에 선언하는 방법
int n3, n4, n5;
// 3-1. 다수개의 변수를 동일한 값으로 초기화하는 방법
n3 = n4 = n5 = 3;
// 4. 다수개의 변수를 동시에 선언하면서 값을 초기화는 방법(서로 다른 값으로...)
int n6 = 6, n7 = 7;
// 5. 다수개의 변수를 선언하면서 선별적으로 값을 초기화하는 방법
int n8 = 8, n9, n10 = 10;
변수의 활용
// 변수의 활용 - 성적처리
// 국어, 영어, 수학 점수를 입력받아
// 총점 / 평균
// 1. 입력
// 1-1. 변수의 선언 - 입력될 값을 저장하기 위한 용도의 변수
int kor, eng, mat;
// 1-2. 입력 변수의 초기화
kor = 100;
eng = 90;
mat = 81;
// 2. 처리
// 2-1. 처리된 결과를 저장할 변수의 선언 및 초기화
// 2-2. 다양한 연산을 통한 통한 데이터 처리와 결과 저장 (처리 로직에 따라 작성)
int tot = kor + eng + mat;
// 주의사항!!!
// 자바의 산술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타입에 따라
// 반환되는 자료형이 달라집니다.
// 정수 + 정수 -> 정수(int)
// 정수 - 실수 -> 실수(연산에 사용된 실수의 타입)
double avg = tot / 3.0;
// 3. 결과 출력
System.out.printf("입력된 성적의 총점은 %d점, 평균은 %.2f점 입니다.\n", tot, avg);
728x90
반응형
'개발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- 연산자, 전위/후위 증가/감소 연산자,비트(BIT) 연산자,시프트 연산자,삼항연산자 (0) | 2020.06.14 |
---|---|
java - 연산자, 산술연산자,관계연산자,논리연산자,대입연산자,증가/감소 연산자 (0) | 2020.06.14 |
java - 변수 (1) (0) | 2020.06.14 |
java - 문자열 연산 (0) | 2020.06.14 |
java - 출력 PrintMethods (0) | 2020.06.14 |